교과교실제
교과교실제 학교 현황
운영 현황
전교생이 모든 교과의 이동 수업을 전제로 한 1교사 1교실제의 교과교실제
운영교원 현황
세부추진 운영 계획

교과교실제 운영을 통한 변화상
도입이전
| |
도입이후
|
---|
교육과정 운영- 낮은 수준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
- 교사 교수 만족도 저하
| 교육과정 운영-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
- 교사 교수 만족도 제고
|
학교·교사- 교과의 특성이 없는 환경
- 주입식 일방식 수업위주
- 교과 전문성 신장 기회 부족
| 학교·교사- 각 교과별 특성의 환경 구성
- 경험적 쌍방향 수업 가능
- 교과 전문성 심화
|
학생·학부모- 수준별 수업 미흡
- 타율적 학습 능력
- 수업 시간 관리의 어려움
| 학생·학부모- 학생 수준별 수업 가능
- 자율적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
- 학생 동선의 최소화와 자율적 시간 관리
|
교과교실제 기본 교육 환경
- 교사의 교과 연구가 활성화 되고 교과 특성에 맞는 환경이 구성되어 교과의 정체성이 확립됨.
- 각 교과의 특징을 살린 환경구성으로 학습의 효율성이 높아졌으며 학생들이 원하는 교과를 찾아 이동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킴.
- 국어·영어·수학 교과의 수준별 이동 수업과 분반 수업이 이루어져 학생들의 기초기본학습 향상에 기여함.
- 師弟同宿하는 학교 환경과 맞물려 1:1 맞춤식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,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교과 교사를
찾아가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됨.
- 특별실과 어학실습실 활용으로 학생들의 특기적성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1인 1특기 운영이 가능해지면서 학생들의 자신감도 상승함.
교과교실제 운영 특색 사항
N+1 수업 운영(국어, 영어)
블록타임 운영
- 가. 전 과목을 90분 블록타임으로 운영
- 나. 각 교과교실 활용한 수업 운영
- 다. 효율적인 시간표 편성과 운영, 학생의 이동 횟수 및 동선 최소화 모형개발
- 라. 블록타임의 효과적인 교수-학습법과 다양한 학습 자료 개발
- 마. 활발한 교과협의회 운영
교과별 환경 구축 및 특색 사업 운영
환경 구축
- 각 교과의 특징을 살린 환경 구성으로 학습의 효율성 제고
- 교사의 교과 연구가 활성화 되고 교과특성에 맞는 환경구성으로 교과의 정체성 확립
- 교과수업 및 블록타임제, 특성화 수업에 맞는 교과교실 환경구축으로 다양한 면에서의 학습 효과 증진
교과별 특색사업 운영
- 교과별 특성에 맞는 활동중심의 사업 운영
-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