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현장분석 | 추진목표 | |
---|---|---|
| 인성·체험·직업교육으로 나뉜 특성화 교과를 개설하여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정서적 인정과 자아정체성 확립 | |
오랜 학습 결손으로 인해 교과서 중심의 교실 수업만으로는 학습효과가 떨어짐 | 체험학습과 교과수업을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들의 학습의욕 증대 및 남한 문화 적응효과 고취 | |
남한사회 직업관과 직업정보의 이해 부족으로 자기주도적 진로결정능력이 떨어짐 | 도자기·컴퓨터자격증·공예·네일아트·메이크업·바리스타·조리·원예·중장비·색채·영상 교과를 통해 기초적인 직업소양능력 배양 | |
특별전형으로 대학진학 후 적응률이 낮으며 취업에 대한 인식의 전환 필요 | 표준화 검사와 전문가특강, 직업체험을 통해 자기주도적이고 단계적인 진로결정을 함 | |
현실성 있는 진로교육과 자격증 취득으로 남한사회에 적응에 대한 자신감 부여 필요 | 국가공인 자격취득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고용수준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기르고 대학 진학 후 적응률 높임 |
중점과제 | 세부추진내용 | 시기 |
---|---|---|
진로교육 내실화 |
교육과정 진로선택교과 교육 활동 활성화 (11개 영역의 직업교육 활동 시행) | 연중 |
진로 체험 학습의 날 운영 |
|
|
진로 탐색 기회 | 내 꿈 찾기 UCC 발표대회 | 12월 |
맞춤형 진로상담 | 학과 및 직업교육 맞춤형 진로상담 | 연중 |
진로 초청 강연 | 직업전문가 초청 특강 |
7월 10월, 12월 |